본문 바로가기
마음건강여행

귀반사 건강학 기본반응구역에 대해서 알아보기

by 하꼬와빵 2023. 8. 5.
반응형

기본반응구역

 

기본반응구역은 몸 전체에 작용하여 몸의 신진대사나 노폐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혈액 및 임파의 순환을 개선시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반응구역을 말한다. 귀반사건강학에서 적용하는 기본반응구역에는 신문, 교감, 내분비, 피질하 반응구역이다

 

 

신문 반응구역

 신문은 외국의 여러 저자 사이에도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반응구역이며, 알레르기성 증상에서부터 진통, 진정 작용, 중독성 증상의 완화까지 거의 대부분의 증상에 적용되는 반응구역이다. 특히 브라이언 엘 프랭크의 논문에서 언급된 신문의 기능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통증과 기능이상의 증상에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둘째는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한다. 셋째, 염증성 증상에 작용한다. 넷째는 신경성 무력증등 신경계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신문이 작용하는 해부학적인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이에 해당하는 장기로는 췌장, 시상, 간 등이 포함된다.

 

교감 반응구역

 교감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반응구역으로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서로 억제하거나 서로의 기능을 보조한다. 인체에서 교감신경계의 기능은 자신의 의지대로 제어할 수 없는 심장 및 혈관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비뇨기, 생신기등 내장의 활동을 조절하는 것이다. 교감반응구역은 이러한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몸에서 일나는 자율적인 반응들을 억제하거나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교감반응구역의 적용을 금하니 유의하기 바란다

 1. 노약자, 신체허약자, 어린아는 적용을 금한다. 노약자나 신체허약자의 경우 교감의 자극은 심한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어린아이의 경우 자율신경계가 완벽하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을 금한다

 

 2. 출혈성질환에는 사용을 금한다.

 교감의 자극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코피가 나거나 생리기간, 자궁출혈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적용을 금한다.

 

 3. 장이 꼬이듯이 아프거나 과도한 속 쓰림 증상에는 적용을 금한다.

 장이 꼬이듯이 아픈경우는 내장근육의 과긴장에 의해 일어나는데 교감에 대한 자극은 내장근육의 긴장을 더욱 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적용을 금한다. 또한 교감은 경우에 따라서 위산의 분비를 과도하게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너무 심한 속 쓰림 증상에는 적용을 금한다

 

 4. 지나치게 예민한 경우나 과도한 불면의 경우에는 적용을 금한다.

 교감의 자극은 몸을 각성상태로 유지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지나치게 예민하거나 과도한 불면증에는 적용을 금한다

 

내분비 반응 구역

 

내분비는 인체의 내분비 기관에 대한 반응구역으로 내분비 기관에서 분비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한다. 내분비 기관에는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 난소, 고환, 췌장 등이 해당한다. 내분비 반응구역에 대한 자극은 인체의 호르몬 계통에 영향을 미쳐 인체의 신진대사 및 면역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피질하 반응구역

 피질하는 대뇌의 피질 부분을 제외한 나무지 부분으로 대뇌수질이라고도 한다. 여기에는 대뇌피질과 하부 구조물들을 이어주는 신경섬유들과 시상이나 후뇌, 간뇌 등이 포함된다. 피질하 반응구역에 대한 자극은 대뇌피질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몸 안에서 자율적으로 일어나는 여러 활동을 촉진시킨다.

반응형